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홍역 증상 및 예방관리

by 소소인포100 2025. 3. 24.
반응형

 

 

1. 홍역이란?

홍역(Measles)은 홍역 바이러스(Measles virus)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전염병으로, 고열, 발진, 기침, 결막염 등의 증상을 동반합니다. 전염성이 매우 강하여 예방접종이 중요합니다.

 

 

2. 홍역 증상

홍역은 보통 10~12일의 잠복기를 거친 후 증상이 나타납니다.

① 초기 증상 (전구기, 약 3~5일 지속)

  • 고열 (38~40도)
  • 콧물, 기침
  • 결막염 (눈 충혈, 눈물 많음)
  • 입 안 점막에 작은 흰색 반점 (코플릭 반점, Koplik’s spots)

② 발진기 (전염력 최고조)

  • 얼굴 → 목 → 몸통 → 팔다리 순으로 붉은 발진 발생
  • 발진이 퍼지면서 열이 더욱 오름
  • 심한 기침과 피로감
  • 식욕 부진 및 전신 쇠약

③ 회복기

  • 발진이 갈색으로 변하면서 사라짐
  • 피부가 벗겨질 수 있음

면역이 생기지만, 심한 경우 폐렴, 뇌염 등 합병증 발생 가능

 

 

3. 홍역 전염 경로

  • 홍역 바이러스는 비말(기침, 재채기) 및 공기 중 감염으로 전파됨
  • 환자와 직접 접촉하거나, 감염된 표면을 만진 후 손을 입에 대는 경우 감염 가능
  • 전염 기간: 발진이 나타나기 4일 전부터 4~5일 후까지

4. 홍역 예방 및 관리

① 예방접종 (MMR 백신)

홍역 예방을 위해 MMR(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백신 접종이 필수입니다.

  • 1차 접종: 생후 12~15개월
  • 2차 접종:4~6세

💡 면역력이 없는 성인도 백신 접종 필요

  • 1967년 이전 출생자는 자연 면역 보유 가능
  • 1967~1994년 출생자는 백신 접종 이력이 불확실할 수 있어 항체 검사 후 접종 권장

② 개인위생 관리

  • 외출 후 손 씻기, 마스크 착용
  • 기침·재채기 시 휴지나 팔꿈치로 가리기
  • 감염된 사람과 접촉 피하기

③ 홍역 의심 증상 시 대처법

  • 증상 발생 시 즉시 병원 방문 및 격리
  •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 임산부, 면역저하자는 조심
  • 병원 방문 전 보건소 또는 의료기관에 먼저 문의하여 감염 확산 방지

5. 홍역 발생 시 대응 방법

홍역은 전염력이 강해 유행이 발생하면 빠르게 확산될 수 있습니다.
여행 전 예방접종 확인 (특히 홍역 유행 지역 방문 시)
의심 증상 발생 시 학교, 직장 등 외출 자제
보건소 및 병원에 신고 후 격리 치료


💡 마무리

홍역은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지만, MMR 백신 접종만으로 97% 이상 예방 가능합니다. 특히 영유아 및 면역저하자의 경우 필수 예방이 중요합니다.

👉 홍역 의심 증상이 있다면 즉시 병원에 문의하고, 예방접종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