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울시는 출산 가정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지원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첫만남이용권
- 지원 내용: 출생아 1인당 200만 원의 바우처를 지급합니다.
- 신청 기간: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에 신청해야 하며, 지원금은 생후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신청 방법: 출생 신고 후 거주지 동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2. 부모급여
- 지원 내용: 영유아를 둔 부모에게 매월 현금으로 지원금을 지급합니다.
- 신청 방법: 거주지 동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3. 자치구별 출산지원금
서울시 각 자치구는 추가적인 출산지원금을 제공하고 있으며, 지원 금액과 조건은 구마다 다릅니다. 예를 들어:
- 강남구: 첫째 아이 30만 원, 둘째 50만 원, 셋째 이상 100만 원 지원
- 송파구: 첫째 아이 50만 원, 둘째 70만 원, 셋째 이상 100만 원 지원
- 은평구: 첫째 아이 20만 원, 둘째 30만 원, 셋째 50만 원 지원
참고: 각 자치구의 지원금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정보는 해당 구청 또는 주민센터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4. 산후조리비 지원
- 지원 내용: 출산 후 산모에게 100만 원의 바우처 포인트를 지급합니다. 다태아 출산 시 지원 금액이 증가합니다.
- 신청 기한: 출산 후 60일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 신청 방법: 온라인으로 서울맘케어를 통해 신청하거나, 거주지 동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5. 임산부 교통비 지원
- 지원 내용: 임산부 본인 명의의 신용·체크카드에 70만 원의 교통 포인트를 지급합니다.
- 신청 대상: 서울시 거주 임산부로, 임신 12주 이상이며 출산 후 3개월까지 신청 가능합니다.
- 신청 방법: 온라인으로 서울맘케어 또는 정부24를 통해 신청하거나, 동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6. 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서비스
- 지원 내용: 출산 후 전문 간호사가 가정을 방문하여 산모 건강관리와 신생아 육아 교육을 지원합니다.
- 신청 대상: 서울시 거주 출산 가정으로, 출산 후 신청 가능합니다.
- 신청 방법: 온라인으로 서울시 임신·출산 정보센터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주의사항:
- 신청 기간과 자격 요건은 지원금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각 지원금의 상세 정보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중복 지원 가능 여부는 각 지원금의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관련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더 자세한 정보와 신청 방법은 서울시 공식 홈페이지 또는 해당 부서의 안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출산지원금 및 육아 지원 정책을 더 자세히 안내해 드릴게요.
7. 아이돌봄 지원 서비스
- 지원 내용: 맞벌이 가정 등 양육이 어려운 가정을 위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시간제 돌봄: 시간당 1,800원~9,890원(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원)
- 종일제 돌봄: 월 최대 235만 원 지원
- 신청 대상: 만 12세 이하 아동을 둔 가정
- 신청 방법: 정부24 또는 아이돌봄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
8. 다자녀 가정 지원
- 지원 내용: 2명 이상 자녀를 둔 가정을 대상으로 다양한 혜택 제공
- 다둥이 행복카드 발급(지하철, 대중교통 할인 등)
- 전기·가스·상하수도 요금 감면
- 다자녀 전용 주거 및 임대주택 우선 공급
- 신청 대상: 서울시 거주 다자녀 가정
- 신청 방법: 거주지 주민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9. 서울형 보육료 지원
- 지원 내용: 보육시설 이용 시 추가 보육료 지원 (기본 정부 지원금 외 추가 지원)
- 신청 대상: 서울시 거주 미취학 아동을 둔 가정
- 신청 방법: 서울시 보육포털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
10. 육아휴직 급여 지원
- 지원 내용: 육아휴직 사용 시 급여 지원 (고용보험 가입자 대상)
- 첫 3개월: 통상임금의 80% (월 최대 150만 원)
- 이후: 통상임금의 50% (월 최대 120만 원)
-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도 별도 지급
- 신청 대상: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근로자
- 신청 방법: 고용보험 홈페이지 또는 회사 경유 신청
신청 시 유의사항
✔️ 신청 기간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 일부 지원금은 소득 기준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 지원금 중복 신청이 가능한 경우도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주민센터나 서울시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반응형